정착도우미


미국 학교 교육 시스템과 운영시스템

작성자 정보

  • 샌코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 미국 급식 Sample

▣ 공립? 사립? 미국은 학교를 어떻게 구분할까?

- 미국의 학교 구분
공립학교(Public School)
연방정부와 주정부에 의해 운영되는 학교. 수업료 무료

사립학교(Private School)
개인이나 사립재단에 의해 설립된 학교. 수업료 유료

차터스쿨(Charter School)
자체 운영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사립학교성 학교지만 주정부의 지원을 받는 공립과 사립의 중간개념. 수업료 무료

Tip : 공립학교의 학력저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개혁의 목적으로 생겨난 Charter School은 자체 위원회에 의해 자율적으로 운영되지만 주정부나 지역교육청의 재정지원을 받으므로 공립학교와 사립학교의 중간개념의 학교라고 할 수 있다. 학교 설립 계획서, 교육 계획서를 놓고 지역교육청과의 계약에 의해 이루어지며 엄격한 심사를 통해 설립이 된다. 운영은 자체 교육계획안에 따라 자율적으로 하지만 재정지원을 받기 때문에 교육행위와 결과에 대해 엄격한 감사를 받아 재계약을 한다.

▣ 연령별 교육기관 (지역별로 처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데이케어 (Daycare)
영/유아를 위한 기관으로 대부분 사립

- 프리스쿨 (Preschool/Pre-K)
취학 전 만 2~4살 정도의 어린이를 위한 기관. 대부분 사립.기본 시간은 오전 9:00 ~11:30 이지만 프로그램에 따라 종일반, 반일반 등 시간을 선택할 수 있음.

- 킨더가든 (Kindergarten)
만 5세가 되면 입학
공립 초등학교에 함께 있으며 공립과 사립 킨더가든에서 선택

- 초등학교 (Elementary School)
1학년부터 5학년까지 운영 (일부 지역은 6학년까지)

- 중학교 (Middle/Junior High School)
6학년부터 8학년까지 운영(또는 7학년부터 9학년까지)

- 고등학교 (High School)
9학년부터 12학년까지 운영

▣ 학교 운영시스템에 관한 Q & A

-스쿨버스에 대한 궁금증. 미국의 모든 학생은 스쿨버스를 타고 등교할까?
스쿨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일부 지역의 경우 예산부족으로 스쿨버스를 운영하지 않는 곳도 있다. 사립학교는 공립학교 스쿨버스 시스템을 함께 이용하지만 학교별로 별도의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지역별로 학교와 집까지의 거리로 스쿨버스를 탈수 있는 기준이 정해져 있기도 하는데 예를 들면, 어떤 학군에서는 학교에서 집까지의 거리가 1마일 이상이 되어야 스쿨버스를 이용할 수가 있다. 1마일 이하의 거리는 ‘Walker’로 분류되어 걸어 다니거나 부모가 직접 태워다 줘야 한다. 고학년 이상은 걸어 다니기도 하지만 저학년은 주로 부모가 태워다 준다. 이 외에 자전거를 타고 가는 경우는 학교별로 특정 학년 이상이 되어야 하며 부모 허가서(Permission slip)를 제출해야만 한다.

- 급식제도에 관한 궁금증. 급식비는 어떻게 내야 하나? 아이들이 먹는 메뉴는 어떤 걸까?
대부분의 학교에서 급식을 운영하고 있는데 학군별로 같은 Food Service에서 한 지역을 담당 한다.
Lunch Money라고 불리는 급식비는 개인수표(Personal Check)를 써서 봉투에 넣어 아이편에 보내면 급식담당부서로 전달이 되어 아이 어카운트(account)에 적립이 된다. 신용카드로 적립할 수도 있다. 매월 초 잔액이 표기된 안내문이 오면 필요한 금액을 Check으로 써서 아이편에 보내면 된다.

Tip : 개인수표(Personal Check)란?
미국에서 신용카드와 함께 많이 쓰이는 지불시스템 중의 하나로, 거래 기록을 남길 수 있고 분실 시 위험이 적어서 많이 쓰인다. 아이들 학교에 가져가는 모든 비용도 거의 개인수표를 써서 보낸다. 개인이 은행 구좌를 열면 수표책(Check Book)을 함께 받는데 이를 Checking Account 라고 한다. 수표에는 본인의 구좌정보와 신상정보가 인쇄되어 있고 금액, 받는 사람의 이름을 쓰는 난과 싸인을 하는 난이 있고 수령자가 은행에 입금(Deposit)을 하면 해당 구좌에서 돈이 출금되는 시스템이다. 은행잔고가 없을 때 수표를 쓰면 30불 정도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경우가 많으니 은행잔고를 확인하고 쓰는 것이 좋다.

- 미국 학교 교실에 대한 궁금증. 우리 아이는 몇학년 몇반?
일반적으로 초등학교의 경우 학교 규모에 따라 한 학년당 2 ~ 4개 반이 있는데 각반의 명칭은 1학년 1반, 2반으로 부르는 것이 아니라 선생님의 이름을 따라 부른다. 예를 들면, Mrs. Brown’s class 또는 Mr. Meyer’s class 등으로 부르고 각 교실에는 방 번호가 있어서 ‘Room 11’등의 표현을 쓴다. 특이한 점은 우리나라처럼 1학년 1반 선생님이 매년 바뀌는 게 아니라 선생님의 교실은 대부분 고정되어 있어서 매년 같은 교실을 사용한다. 마치 자기의 사무실처럼 한 교실을 계속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교사이동이 없는 한 Mrs. Brown’s class는 언제나 Room 11이 되는 것이다. 공립학교의 학급 당 인원은 평균 25명을 넘지 않으며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담임교사 외에 보조교사(Paraprofessional)가 있는 경우도 있고, 교생(Intern)실습을 나온 대학생이 있는 경우도 있다.

- 결석, 지각, 조퇴를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아이가 갑자기 아파서 학교에 가지 못하게 될 때, 늦잠 때문에 스쿨버스를 놓쳐서 아이를 태워다 주었을 때, 병원예약으로 중간에 아이를 조퇴시켜야 할 때 어떻게 해야 할까? 미국의 시스템은 모든 것이 학교 오피스(서무실)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학교마다 방법의 차이는 있다)

결석 : 학기초에 학교에서 결석전용 전화번호를 알려주기도 한다. 예를 들면, SAS(Safe Arrival at School) 라는 이름의 번호인데 아이가 아침에 학교에 못 간다고 판단될 경우 전화해서 ‘아이 이름, 선생님 이름, 날짜, 결석이유’ 등의 메세지를 남기면 학교 오피스에서 선생님께 전달해 준다. 결석의 경우 후에 결석 이유와 함께 부모가 싸인을 한 결석 사유서를 제출해야 한다.

지각 : 스쿨버스 시간을 놓쳐 태워다 줘야 할 경우 학교 시작 후에 아이가 들어가면 지각으로 인정된다. 그럴 때는 아이만 내려주고 가는 게 아니라 같이 오피스에 들어가서 ‘Sign-in sheet’에 싸인을 하고 나와야 할 것이다. 후에 지각 사유서를 제출 하기도 한다.

조퇴 : 병원 예약 등으로 아이를 중간에 학교에서 데려와야 하는 경우 교실에 가서 슬쩍 데려오면 되는 게 아니다. 우선 학교 오피스에 가서 아이 이름을 얘기하고 병원예약이 있어 데려간다고(Sign-out)말하면 방송으로 아이를 불러준다. 조퇴를 할 경우 미리 아침에 선생님께 노트를 보낸다.

▣ 미국학교 운영시스템 관련 용어 정리

- 미국 학교 등록 관련 용어
Absence/Tardy/Leaving early
결석/지각/조퇴

Paraprofessional (Para)
보조교사-수업준비, 수업보조, 급식지도 등을 한다.

Lunch Money
급식비

Permission Slip
부모 허가서-부모의 싸인이 필요할 때 제출하는 양식

Intern / Student teacher
교생

School Office
서무과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